-
홍준표의 디지털 화폐 공약|50대를 위해 쉽게 풀어보는 스테이블코인과 CBDC라이프 2025. 4. 18. 23:48
50대 디지털 이민자를 위한 디지털 화폐 해설서
스테이블코인 & CBDC, 쉽게 알려드립니다!50~60대를 흔히 ‘디지털 이민자’라고 하죠.
아날로그 시대를 살아온 우리가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은행 업무를 보고, QR코드로 결제를 하며, 디지털 통장 속 숫자에 익숙해져야 하는 세상입니다.이 변화에 적응하려 애쓰는 모습이 이민자의 삶과 닮았다고 해서, ‘디지털 이민자’라는 말이 붙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우리에게 최근 홍준표 대통령 후보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스테이블코인’과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디지털 금융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50~60대에게는 여전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과 CBDC가 무엇인지, 어떻게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란?
스테이블코인은 ‘Stable(안정된)’과 ‘Coin(코인)’의 합성어로, 가치가 일정한 디지털 화폐를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일반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이 심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나 유로 등 실물 자산에 가치를 연동시켜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스테이블코인의 종류
- 법정화폐 연동형: 미국 달러와 1:1 비율로 가치를 유지하는 USDT(테더), USDC 등이 대표적입니다.
- 암호화폐 담보형: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발행되며, 가격 변동에 따라 담보 비율을 조정합니다.
- 알고리즘 기반형: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치를 안정화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구매 방법
- 암호화폐 거래소 가입: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 가입합니다.
- 원화 입금: 계좌를 통해 원화를 입금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구매: USDT, USDC 등 원하는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사용처
- 해외 송금: 빠르고 수수료가 저렴한 송금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 온라인 결제: 일부 온라인 쇼핑몰이나 서비스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 투자 및 거래: 다른 암호화폐와의 거래나 투자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란?
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화폐입니다. 기존의 지폐나 동전과 달리 전자적으로 발행되며, 국가가 보증하는 법정화폐입니다.
✅ CBDC의 특징
- 국가 보증: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여 신뢰성이 높습니다.
- 디지털화: 현금 없이도 스마트폰이나 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 추적 가능성: 거래 기록이 남아 자금 세탁이나 범죄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한국의 CBDC 현황
한국은행은 2020년부터 CBDC 연구를 시작하여, 2025년까지 시범 운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10만 명을 대상으로 CBDC를 활용한 결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Korea Joongang Daily한국은행
🛒 CBDC 사용 방법
- 참여 은행 앱 설치: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참여 은행의 앱을 설치합니다.
- CBDC 계좌 개설: 앱을 통해 CBDC 전용 계좌를 개설합니다.
- 충전 및 결제: 원화를 충전하여 CBDC로 전환하고, QR코드 등을 통해 결제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vs CBDC 핵심 비교
항목스테이블코인 (Stablecoin)CBDC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발행 주체 민간 기업 (예: 테더, 서클 등) 중앙은행 (한국은행 등) 가치 연동 방식 미국 달러, 유로 등 법정화폐 또는 암호화폐와 연동 국가에서 보증하는 법정화폐로 1:1 발행 안정성 발행 주체의 신뢰도에 따라 달라짐 국가가 보증하므로 안정성 높음 사용 목적 해외송금, 거래소 거래, 투자 등 국내 결제, 정부지원금 지급, 오프라인 결제 등 법적 위치 국가별로 규제 여부 상이, 민간 주도 법정화폐로서 국가 금융 정책에 따라 운영 거래 익명성 일부 익명성 있음, 규제 적음 거래 추적 가능성 높음, 자금세탁 방지 목적도 포함 접근 방식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구매 및 사용 가능 은행 앱 또는 지정된 디지털 지갑을 통해 접근 기술 기반 블록체인 기반, 대부분 이더리움 등 퍼블릭 체인에서 운영 국가 주도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중앙화 시스템에서 운영
📝 마무리
홍준표 후보의 스테이블코인 및 CBDC 관련 공약은 디지털 화폐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민간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가치 안정성을 추구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반면,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법정화폐로, 국가의 금융 시스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 화폐의 발전과 함께 우리의 일상 속 결제 방식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록 '디지털 이민자'의 삶을 살고있는 50~60대이지만. 디저털 이민생활에 성공적으로 잘 적응하여 첨단 시대를 살아가는 골든 에이지의 주인공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대 재테크 전략|연금 개시 전 15년, 노후 준비 어떻게 할까? (4) 2025.04.20 지금 당장 버려야 건강을 지킨다! ‘버려야 할 물건’ 리스트 5 (0) 2025.04.19 5천 원으로 당일치기 경산 여행! 시티투어 + 해설사 동행, 가성비 끝판왕 (4) 2025.04.17 사우나 피해야 할 질환 7가지와 안전한 대체 방법 (1) 2025.04.16 500만원 캣타워, 2000만원 히노끼 욕조 정체는? 제품명·브랜드 완전 공개! (1) 2025.04.15